본문 바로가기
뉴스

중국서 장기 위치 뒤바뀐 아기 급증 이유가 코로나 19 백신 때문?

by 공감쓰 2023. 11. 7.
반응형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코로나19 방역 정책이 해제된 후 내장 역위증 아기의 발생률이 평년의 4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하이교통대와 퉁지대 연구진은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JM)에 발표된 논문에서 이를 밝혔습니다.
내장 역위증은  중국에서는 2014년부터 2022년까지의 연평균 발생률보다 2023년 1월부터 7월까지의 발생률이 4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4월에는 발생률이 최고조를 기록했습니다.
연구진은 이러한 내장 역위증과 코로나19 감염 사이에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지만, 정확한 인과관계는 아직 규명되지 않았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코로나


목차
1. 내장 역위증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2.코로나19와 내장 역위증 외에도 다른 질병과의 연관성이 있을까요?

 

 

1. 내장 역위증의 원인 은 무엇일까요?

 

내장 역위증은 몸속 내장이 정상적인 위치가 아닌 완전히 좌우가 반대로 바뀐 상태를 의미합니다. 가령, 가슴 왼쪽에 있어야 할 심장이 오른쪽에 있는 등의 형태를 말합니다 내장 역위증은 정확한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선천적인 요인이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내장 역위증은 태아의 발달 과정에서 내장이 정상적인 위치로 이동하지 않고 반대로 뒤바뀌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태아의 발달 초기에 발생하며, 구체적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일부 경우에는 유전적인 요인이 내장 역위증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일란성쌍둥이에서의 내장 역위증 발생 빈도가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정확한 유전적인 메커니즘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2014년부터 2022년까지의 연평균 발생률보다 2023년 1월 부터 7월까지의 발생률이 4배 이상 높게 나타나므로 코로나19 감염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고 합니다. 

내장 역위증은 특별한 치료 방법이 없으며, 다른 심장 내 기형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완전 내장 역위증이 있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사람과는 반대쪽에서 통증을 호소하기 때문에 진단에 혼동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내장 역위증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되며, 가장 흔한 형태는 가슴과 복부 내의 모든 장기가 거울을 보듯이 좌우 대칭적으로 뒤바뀐 경우입니다. 특히 일란성쌍둥이에게 발생 빈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코로나19와 내장 역위증 외에도 다른 질병과의 연관성이 있을까요?

 

내장 역위증과 다른 질병들 간의 연관성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명확한 결과는 아직 없습니다. 그러나 일부 연구들은 내장 역위증과 일부 질병들 간의 관련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내장 역위증은 심장 질환과의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내장 역위증을 가진 환자들 중 일부에서는 심장 이상, 심장파열, 심장이 좌우 반대로 위치하는 등의 심장 문제가 동반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연관성의 원인과 정확한 관계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또한, 일부 연구에서는 내장 역위증과 소화기 질환과의 연관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내장 역위증을 가진 일부 환자들은 위식도 역류, 위궤양, 담낭염, 충수염 등 소화기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연관성 또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정확한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코로나19와 내장 역위증 외에 다른 질병들과의 연관성은 아직 명확하지 않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내장 역위증과 다른 질병들 간의 관련성을 더 잘 이해하고 예방 및 치료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내장 역위증은 개인의 유전적인 요인과 태아의 발달 과정에서의 변화가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합니다.

반응형